목록2022/07 (2)

코로나19의 유행으로 인한 여러 유형의 자발적·비자발적 기간을 가지면서, 역시나 자발적·비자발적 휴가와 재택 근무를 경험하신 분들이 많습니다. 이렇게 코로나19의 팬데믹(pandemic; 대유행)은 꽤 한정적이었던 재택 근무와 강제적(?!) 휴가의 전세계적인 유행을 가져왔었지요. 코로나19가 처음으로 퍼지기 시작했을 때 많은 직장인들이 회사가 아닌 집이나 카페 등에서 일을 하게 되면서 이런 말들이 있었습니다. “이건 일하는 것도, 노는 것도 아니야!” 워케이션, 일상이 되다 랩탑만 있으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을 할 수 있게 되면서, 일(Work)과 휴가(Vacation)가 결합된 ‘워케이션(Workation)’이 일시적인 ‘유행’을 넘어 ‘뉴노멀(new normal; 새로운 표준/일상)’, 나아가서는..

지금까지 주로 기업과 같은 영리조직의 ESG 경영, 지난 포스팅과 같이 지방정부 등과 같은 공공조직의 ESG 경영을 다뤄봤습니다. 지속적으로 언급하고 있지만, ESG 경영은 주로 기업이나 정부와 같은 매우 ‘조직’적인 단위에서 ‘비재무적인 환경·사회·거버넌스(협치; 의사결정 및 지배구조)에 해당하는 숫자가 아닌 경영 활동 및 관련 지표를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모아서 관리하고 공시하며 커뮤니케이션에 활용할 것인가?’라는 질문으로 고민되어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쓰레기 배출로 인한 오염과 탄소배출을 통한 기후변화 등 환경이슈 차원에서 봤을 때, 개개인의 합을 생각해 본다면 기업이나 공공기관도 중요하지만 개인도 분명 절대로 무시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선 개인 측면의 ESG에 대해 한번 다뤄보고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