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1)

언론이 점화효과를 통해서 여론의 향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됨에 따라, 기업, 사회단체, 정치인, 정당, 대통령 등은 언론이 특정한 이슈를 사회적 의제로 부각시키는 과정에 더욱 주목하게 된다. 이슈관리의 관건은 기업이나 정당이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이슈가 자신의 조직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지 사전에 예측, 진단하고 그에 대해 중장기적인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과거의 기업, 사회단체, 정치조직은 언론을 직접 접촉해서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자신의 조직에 유리한 이슈 환경을 조성하려 했다. 과거의 이슈관리는 사실상 미디어 관계(media relations)의 관점에서만 수행되었다. 다시 말해, 언론에 보도자료와 홍보물을 배포하고, 이벤트에 언론인을 초대하고, 언론조직에 직·간접적인 압력을 행사하..

지난 편 에서는 트위터를 통한 K팝의 세계적 인기에 대해서 살펴봤었습니다. 2020/10/06 - [브랜딩/트렌드 & 사례연구] - BTS와 K팝이 정말 세계적으로 인기 있나요? ① - K팝에 대한 트위터의 감사와 구애?! 방탄소년단(BTS) 뿐만 아니라 생각보다 훨씬 더 다양한 K팝 아이돌들이 전세계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모습이며, 우리나라보다 더 많은 언급량을 보였던 '태국'과 우리나라의 반 정도 밖에 되지 않는 인구에도 언급량 순위권에 오른 저 지구 반대편 '페루'의 모습을 보며, K팝은 정말 전 세계적으로 인기있음을 새삼 느끼셨죠. 그리고 이번 편에서는 지난 편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트위터 이외에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서 K팝과 아이돌의 현황을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K팝의 세계사?..

2020년 10월 12일 어제를 기점으로, 약 50일간 진행되었던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드디어 격하되었다. 어디 있었던지도 모를 사람들이 마구 쏟아져나와 널널했던 출근길 대중교통은 벌써부터 북적북적 인산인해다. 이 많은 사람들은 다들 어디서 무얼 하다가 이렇게 갑자기 몰려 나온건지 궁금해진다 따라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집콕'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소셜 데이터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집콕과 코로나 이슈 집콕에 대한 언급량은 크게 2 ~ 3월과 8 ~ 9월에 가파르게 증가했다. 첫번째로, 2~3월은 코로나 누적 확진율이 최대치를 갱신하며 외출에 대한 사회적 공포감이 고조되었던 시점이다. 두번째로, 8~9월은 전광훈 목사의 집회 이슈로 일일 확진자 200명 초과, 거리두기 2.5단계가 실행되..